서악서원은 다루에서 도보로 10분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조선 명종(明宗) 16년(1561년)
당시의 경주부윤(慶州府尹)
이정(李楨)이 김유신(金庾信)을
기리기 위해 선도산 아래에 처음 세웠다.
이정은 경주의 옛 신라 때의 묘역들이
몹시 황폐해진 것을 보고 개탄하며 이를 수리하고자 했고,
특히 통일 사업의 큰 공훈이 있는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과
각간(角干) 김유신에 대해서는
그 무덤을 수리하는 것뿐 아니라
이들을 받드는 사당을 세우고자,
자신의 스승인 이퇴계(李退溪)에게 자문을 구했는데,
퇴계는 일개 군수의 신분으로 제왕의 사당까지 세울 필요는 없으며
각간(김유신)에 대해서만 사당을 세우되,
제향이나 묘역 관리 및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겸하게 하는 것이 좋겠다고 권고했다.
이퇴계의 의견을 따라
이정은 선도산 아래에 서악정사를 세워
김유신의 제사 및 교육을 위한 장소로 삼게 되었다.
이것이 서악정사(西岳精舍)이다.
이후 경주 유생들에 의해 홍유후
설총(薛聰)과 문창후 최치원(崔致遠)의
위패(位牌)도 합사하자는 건의가 들어오자,
이정은 다시 이퇴계와 의논하여
두 사람도 함께 모시게 되었고,
이퇴계가 '서악정사'라는 친필 현판을 써주었다고 한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던 것을
선조 33년(1600년)에 부윤 이시발(李時發)이
옛 터에 초사(草舍)를 다시 지어 전란을 피해 보존된 위패를 모셨다,
1602년에 부윤 이시언(李時彦)이 처음으로 사당 중건을 시작하였고,
광해군 2년(1610년) 강당과 동재(진수재)
서재(성경재), 전사청(典祀廳)과
장서실(藏書室)을 새로 지었다.
인조 1년(1623년) 경주의 유학자였던
진사(進士) 최동언(崔東彥) 등이 부윤 여우길(呂祐吉)을 통해
조정에 사액(賜額)을 청하였고,
조정에서는 서악서원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1646년에 이민환(李民寏)이 부윤으로
있을 때에 영귀루(詠歸樓)를 중건하고,
묘제(廟制)를 동향(東向)으로 하여
설총과 김유신, 최치원을 차례로 모두 향사(享祀)하였다.
고종 10년(1873년)과 고종 19년(1882년),
고종 29년(1892년), 고종 31년(1894년)에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폐쇄되지 않고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뒤에는 사당을, 앞에는 강당인 시습당(時習堂)을 배치하고,
영귀루를 맨 앞에 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갖추었다.
사당은 앞면 3칸에 옆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집이다.
시습당은 앞면 5칸에 옆면 3칸이다. 왼편으로 진수재(進修齋)를,
오른편으로 성경재(誠敬齋)를 두었다.
영귀루는 앞면 5칸에 옆면 1칸의 누각이다.
시습당에는 서원의 학칙을 기록한 《원규》와 백록동규,
《국기(國忌)》, 《서악서원중수기 완의(完議)》,
《서악서원상량문》(1610년) 등의 기판과 영귀루에
《서악서원내해중건기》, 《영귀루중건기 및 중수기》 등이 남아 있다.
이외에 비석 1기가 있다.
'경주둘러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한옥민박-추천유적지 김유신장군 묘 소개 (0) | 2016.05.22 |
---|---|
경주한옥민박-추천유적지 교촌마을/원정교/교동법주/최부자집 (0) | 2016.05.21 |
경주한옥민박-추천여행코스 신라밀레니엄파크 소개 (1) | 2016.05.20 |
경주한옥민박-추천여행코스 경주주상절리 (1) | 2016.05.19 |
경주한옥민박-추천여행코스 읍천항소개 (1) | 2016.05.18 |